재단기 (paper cutting machine)
용지를 필요한 크기로 잘라내는 기계. 낱장 인쇄용지 등을 재단하는 평재단기와 제책에서 사용하는 3면재단기가 있다.
재단몫 (cutting margin)
제책과정의 마무리 재단시 잘려 나가는 부분. 사진제판 과정에서부터 사진 등의 재단되는 부분은 보통 3㎜ 정도 여분을 준다. ☞ 재단여분(→), 시아게(×), 다찌(×)
재단치수
원지를 재단하여 일정 규격으로 치수화한 것으로 A열 A0 치수를 841㎜×1,189㎜, B열 B0 치수를 1,000㎜×1,414㎜로 한 가상치수에서 2절씩 재단하면 재단치수가 나온다.
재래식그라비어 (conventional gravure)
출판 인쇄에 사용되어 왔던 그라비어 제판방식으로 연속계조의 포지티브 원판과 백선 스크린, 카본티슈 등을 이용하여 제판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별로 이용되지 않음.
재판 (reprint edition)
① 복간판을 의미. ② 현 출판계에서 사용하는 "재판"은 수정, 증보, 또는 그대로 다시 인쇄한 것 등을 모두 일컫고 있음.
저자 (author)
그 저작물의 원작품이나 복제물에 저작자로서의 성명(실명 또는 이명)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표시된 자. ☞ 저작자(著作者)(○), 지은이(○)
저작권 (copyright)
저작물에 대하여 저작자(또는 승계자)가 가지고 있는 저작 인격권과 저작 재산권을 모두 일컫는 말. 법에 의해 보호되며 저작 재산권은 양도할 수 있다.
저작물 (works)
저작권의 객체가 되는 창작물. 2차적 저작물, 편집 저작물, 공동 저작물, 단체명의 저작물 등이 있다.
저장 (deposit)
컴퓨터에서 기억장치의 내용을 일시 보관하거나 보조 기억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것.
전각 (em)
문자 크기와 문자 폭의 값이 같은 정사각형을 이름.
전각들여넣기 (em indent)
별행의 시작을 판면에서 전각 들여넣어 들여짜기하는 것. ☞ 들여짜기(→), 첫줄 밀어맞춤(→)
전단 (bill, leaflet)
낱장의 선전 광고용 인쇄물. ☞ 삐라(×)
전산사진식자기 (computer controlled phototype setter)
전자적으로 문자 조판을 하는 전산식자기. 초기에는 문자 원판 필름을 이용했으나, 근래에는 문자, 도형, 사진 등을 통합해서 조판하는 것을 가리킨다.
전산조판 (computer type setting, computer composition)
책자 등의 조판작업을 컴퓨터에 의하여 하는 것. 컴퓨터의 조판작업 프로그램에 따라 단순 문서작업에서부터 전문 조판작업까지 할 수 있고,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원색작업도 할 수 있다. ☞ 전산식자(電算植字)(×)
전용컴퓨터 (special purpose computer)
군사용, 공장 제어용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컴퓨터. 범용 컴퓨터에 대응한 컴퓨터의 용도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