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언어 (natural language)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일상 생활문자로서의 언어. ☞ 자연어(自然語)(○)
자외선경화잉크 (UV(ultra violet) ray curable ink)
자외선을 비춰서 비이클의 광중합반응으로 건조되는 잉크. 자외선은 분광 흡수 반사되므로 잉크의 색과 피막의 두께에 따라 경화속도가 다르다. 판지,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 등의 인쇄에 쓰인다. ☞ UV잉크(○)
자체
한 개 글자의 됨됨이. 자획(字劃)의 모양이나 문자의 형체를 두고 말하는 것. ☞ 글자체(○)
자판 (keyboard)
데이터를 손가락으로 쳐 넣기 위한 컴퓨터의 입력장치. ☞ 글자판(○), 키보드(→)
작은따옴표 (single quotation mark)
이중 인용이나 주의를 주고자 하는 곳에 사용하는 인용부호(" ").
작은접장
세번접기의 16페이지 접지 인쇄물에서 3회째의 접장을 일컫는 말.
잠상 (latent image)
빛에 감광된 사진의 감광판에서 감광염이 변화를 일으키지만 현상할 때까지는 보이지 않는 상으로 남아 있는 것.
잡물 (job, jobbing work)
광고지, 엽서, 명함, 전표 등과 같이 책자가 아니고 모양도 일정하지 않은 인쇄물. 한 페이지물이 아닌 조판물. ☞ 낱장거리(○), 하모노(×)
장음부호 (macron)
판독부호의 하나( ). 앵글로색션어의 , , , , , Y 등. 문장부호로서 장음을 표시하기도 한다. ☞ 매크런(○)
장정 (book binding design)
책의 표지, 면지, 재킷 등 원고를 제외한 책의 모든 것을 디자인하는 것. ☞ 책 디자인(→)
장체
변형문자의 하나로, 폭을 좁아 들게 한 문자.
장합 (gathering, collecting)
제책 과정에서 접지된 접장들을 페이지 순으로 모아서 1권분씩 정리하는 작업. 장합된 것을 속장이라 한다. 접장들의 종류가 많을 때에는 나누어 장합하기도 한다. ☞ 접장모음(→), 접지모음(→), 죠아이(×)
장합기 (gathering machine)
자동으로 접지를 순서대로 모으는 기계. 비교적 대형 기계로서 접지된 인쇄물을 기계 위에 나열시키고, 한 접지씩 집어 내면서 모아가는 장치. ☞ 접지 모으개(→), 정합기(×)
장합모아맞춤
접장된 수가 매우 많아서 한번 장합으로는 안 되는 경우 2번 이상 분할 장합시킨 것을 다시 모아 장합하는 것. 주로 전화번호부나 페이지가 많은 사전 종류의 작업에 해당된다. ☞ 모음장합(→), 아와세 조오아이(×)
재교 (revise)
두 번째가 되는 교정 또는 교정지. ☞ 2교(二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