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코미터 (inkometer)
인쇄 잉크의 끈기 즉, 택(tack) 값을 측정하는 계측기. 금속과 고무의 2개의 롤러 사이에 정량의 잉크를 바르고 회전시켜 발생하는 끈기를 반대 방향의 하중에 의해 균형을 맞추어 택값을 측정하는 계측기. 표준 조건으로 32℃, 400rpm, 800rpm, 1200rpm이다. 이때 나타내는 값을 IR(Inkometer Reading)로 표시함.
잉크날음 (misting, flying)
고속 인쇄기에서 인쇄 중 잉크 롤러에서 인쇄 잉크가 분무상(안개 모양)으로 미립자 잉크들이 비산되는 현상. 저속 인쇄에서는 잉크 날음 현상이 없다. 잉크 날음으로 인해서 기계나 인쇄 용지 등을 더럽히게 된다. ☞ 잉크 낢(→), 미스팅(→)
잉크냄롤러 (ink fountain roller)
잉크내림 기구에서 잉크통의 한쪽을 막고 있는 롤러. 이것이 조금씩 회전하여 칼날 사이에서 잉크를 묻혀 낸다. 이렇게 묻은 잉크는 잉크 옮김롤러가 왕복운동으로 묻혀서 이김롤러로 옮겨준다.
잉크롤러냉각장치 (ink roller cooling equipment)
오프셋 인쇄기의 고속화에 따라 인쇄를 안정시키기 위해 잉크롤러를 냉각시키는 장치. 고속 인쇄에서는 잉크롤러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색조 변화나 잉크의 유화 등의 사고가 발생된다. 특히 무수평판 인쇄에서 롤러의 냉각은 필수적이다. 방법은 물을 롤러 속으로 순환시키도록 한다.
잉크묻힘롤러 (ink form roller)
인쇄판에 잉크를 묻혀 주는 롤러. 판면에 고루 잉크를 묻혀 주기 위해 지름이 다른 여러 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 쓰께로라(×)
잉크셀 (ink cell)
그라비어 인쇄에서 화선부가 되는 부분의 인쇄판이 비화선부보다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것. 이 홈에 잉크가 괴어서 인쇄된다. ☞ 잉크홈(→)
잉크옮김롤러 (vibrating roller, ink ductor)
잉크 내림 기구에서 잉크통의 잉크를 묻혀 내는 롤러와 잉크를 반죽해 주는 롤러 사이를 교대로 왕복, 접촉하면서 잉크를 이김롤러 쪽으로 옮겨 주는 롤러. ☞ 옮김롤러(→), 바이브레이팅 롤러(→)
잉크이김롤러 (ink distributing roller)
인쇄기의 잉크 내림 장치에서 잉크 옮김롤러부터 잉크 묻힘롤러까지의 사이에 들어 있는 여러 개의 롤러. ☞ 잉크 네리로라(×)
잉크이김판 (ink slab)
인쇄잉크를 잉크주걱으로 이기거나 섞을 때 사용하는 판. 두꺼운 철판, 대리석판, 유리판 등이 많이 쓰인다. ☞ 잉크 내리반(×)
잉크젯프린터 (ink jet printer)
잉크를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전하(電荷)를 주어 노즐로부터 뿜어 내어 피인쇄체(종이 등)에 묻히는 방식의 프린터. 가압식이 아니기 때문에 소음이 없으며 값이 싸고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전용 용지를 사용함으로써 고품질(인쇄물과 동등)의 컬러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프린터도 있다.
잉크주걱 (ink knife)
인쇄잉크를 이기거나 잉크통에 잉크를 교환시킬 때 사용하는 강철로 만든 주걱. ☞ 헤라(×)
잉크통 (ink fountain)
인쇄기에 잉크를 저장해 두는 통. 오프셋 인쇄기에서는 회전하는 잉크냄 롤러와 칼날(독터) 사이의 틈새를 수십개의 나사로 조절하여 잉크 내림을 한다. ☞ 잉크집(→), 잉끼쓰보(×)
잉크통칸막이 (ink fountain divider)
하나의 잉크통에 종류가 다른 잉크들을 넣거나 불필요한 부분에 잉크가 흘
자간 (space)
글자와 글자, 단어와 단어 사이의 거리. ☞ 스페이스(○), 사이띄기(→)
자동가늠장치 (automatic register control device)
인쇄기에서 종이에 인쇄되는 화상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자동적으로 보정시키는 장치. ☞ 가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