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 (chronological table)
어떤 주제를 연대순으로 약기한 것, 또는 그 페이지. 책의 뒷부분에 둔다. 판면 구성은 표판에 준한다. ☞ 연보(年譜)(○)
열 (column)
표에서 세로로 구획되는 줄. ☞ 난(欄)(○), 칸(→), 난종렬(欄縱列)(×)
열거항 (list, enumeration)
본문에서 종류를 들어 나열하는 분류본문(分類本文). 한 문단의 부속성분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이 경우 마침표 등은 붙이지 않음), 온전한 문장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열의표제 (boxheading, column heading)
표에서 제1행의 각 열에 붙이는 표제(標題). ☞ 열제목(○), 난제(欄題)(○)
염료스케일 (dye scale)
염료만으로 만든 사진 농도 측정용 스케일. 색분해 작업에서 사용하는 은염 스케일은 원고인 슬라이드(염료)와 성분 차이가 있어 오차가 크기 때문에 스캐너에서 사용하는 스케일은 염료 스케일이 적합하다.
옆맞추개 (side gauge, side guide, side mark)
낱장 인쇄를 할 때 용지가 인쇄기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옆 위치를 일정하게 맞추는 장치. 용지는 언제나 앞맞추개(2개)와 옆맞추개(1개)로 일정한 위치에 인쇄 되도록 한다. ☞ 하리(×)
옆매기 (side stitch, side stitching)
제책 방식의 하나로 본문의 등쪽(접지된 쪽)을 옆에서부터 철사를 박아 책을 매는 방식. 표지는 그 후에 풀칠해서 바른다. 과거의 잡지, 교과서 등 많은 책들이 호부장이라고 해서 이 방식을 써 왔으나, 근래에는 무선철 방식으로 바뀌었음. ☞ 호부장(→), 철사철(×), 평철(平綴)(×)
예비지 (overplus sheet)
인쇄나 제책 공정에서 손지가 될 수 있는 종이를 예측하여 정량(正量)에 더하여 준비하는 종이. ☞ 손지예비(損紙豫備)(→), 여지(→)
예시문
본문에서 예를 보이기 위하여 드는 분류본문(分類本文). 인용문이 아니므로 인용부호는 사용하지 않으나, 강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오려두기 (cut)
컴퓨터 워드 프로세싱이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작업한 내용을 현재의 창에서 지우고 이를 클립보드로 저장시키라는 명령.
오른끝맞추기 (flush right, ragged left)
행끝을 판면의 오른쪽 끝에 나란히 맞추고 행의 길이에 따라 행머리는 들쑥거린 채로 놓아 두는 행의 배열. ☞ 행끝 맞추기(→), 아래 맞춰짜기(×), 밑 맞춰짜기(×)
오른쪽매기
세로짜기 조판물의 제책방식. 책장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넘겨지도록 하여 왼쪽면이 홀수 페이지가 된다. 접장은 밑쪽이 자루가 된다. ☞ 우철(右綴)(→)
오름차순 (ascending order, ascending sort)
정렬에서 숫자나 문자를 크기 순서로 정렬할 때, 키 값이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배열하는 것. 예컨대 가나다 순.
오목판 (intaglio plate, intaglio printing, copperplate printing)
패인 부분에 잉크를 채워 이것이 종이에 붙어 인쇄할 수 있게 한 판(版). 그라비어(gravure) 등. ☞ 요판(凹版)(→)
오시알 [OCR]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인쇄된 문자를 광학적으로 읽어 키보드에서 입력한 문자처럼 인식시켜 컴퓨터에 입력하는 장치. 원래는 미리 정해진 특수한 문자만 인식할 수 있었으나, 근래에는 손으로 쓴 것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 광학 문자 판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