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각도자 (screen direction indicator)
스크린선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반원 형태의 포지필름으로 된 것. 인쇄물 위에서 겹쳐 돌려 보면 파문 같은 원이 각도자에 생성되는데, 이 곳이 그 인쇄물의 스크린 각도이다. ☞ 스크린 각도 지시기(○)
스크린선계수자 (screen rulling finder)
망점 인쇄물의 스크린 선수를 측정해 보기 위한 자. 방사선의 포지 필름으로 만들어졌다. 간섭무늬가 일 지점을 지시할 때까지 인쇄물 위에 놓고 돌려 보면 간섭무늬가 생기는 곳의 수치로써 선수를 알 수 있다. ☞ 선수미터(線數-)(○)
스크린선수 (screen frequency, screen ruling)
화상을 망점으로 재현할 때 망점의 밀도를 나타낸 것. 보통 1인치(면적이 아닌 길이 1인치 사이)에 망점이 몇 개 들어 있는가를 표시한다. lpi(line per inch)로 표시되며, 고급 원색인쇄에서는 150∼175선을 사용하고 신문인쇄에서는 100선 정도를 이용한다. dpi와는 다르다.
스크린폰트 (screen font)
컴퓨터에서 쓰이는 비트 맵(bit map). 폰트, 윤곽선(outline) 폰트를 표시, 프린터 출력의 양쪽으로 쓰이지만, 작은 문자는 거친 CRT 화면에서 깨지는 경우가 많다. ☞ 화면폰트(→)
스타일러스펜 (stylus pen)
컴퓨터에서 태블릿과 같이 그림을 그리거나 위치 지정을 할 때 사용하는 펜. 유선과 무선의 2종류가 있다.
스태커와 번들러 (stacker & bundler)
윤전 인쇄기에서 인쇄되어 접어져 나오는 인쇄물을 정리해서 쌓고, 이 다발을 끈으로 묶는 작업을 동시에 하는 장치.
스터브 (stub)
표에서 제1열에 있는 각 행의 사항들.
스템 (stem)
구문 서체의 세로획. 이 굵기를 웨이트(weight)라 한다. 활자의 글자면을 제외한 몸체를 말하기도 함.
스트로크 (stroke)
① 컴퓨터 키보드에서 키를 한번 누르는 것(key stroke). ② 컴퓨터 상에서 문자를 그리는 데 쓰는 선. 선은 직선, 호, 지수 및 대수곡선, 3차곡선 등이 사용된다. ☞ 치기(→), 누르기(→), 글자획(→)
스트로크도트문자 (stroke dot character)
컴퓨터 상의 문자 발생 방식으로, 문자의 윤곽선 정보를 기억해 두고 출력할 때 윤곽선 내부를 칠하여 인자함. 확대와 축소가 자유롭다.
스트리핑필름 (stripping film)
사진제판에 사용되는 필름의 일종으로 필름의 막면이 쉽게 떨어져 다른 곳으로 옮겨 사용하는 필름. 현재는 많이 쓰이지 않고 있는 필름. ☞ 탈막필름(→)
스페이스 (space)
글자와 글자 또는 단어와 단어 사이를 띄우는 것. 또는 띄우기를 하는 조판재료나 명령. 단어 사이의 띄우기는 국어에서는 2분이 기본이고, 구문에서는 3분이 기본이다. ☞ 사이(→), 어간(語間)(→), 띄우기(→), 분공목(→)
스페이스바 (space bar)
자판에서 공백 문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기다란 막대형의 키. ☞ 사이 띄우개(→)
스프레드미터 (spread meter)
평행판형 점도계(粘度計)로서, 일정량의 잉크를 두 개의 평판 사이에 넣고 115g의 유리판으로 눌러 퍼져 나가는 잉크의 반지름 길이를 읽음. 1분 후의 반지름을 스프레드 미터 리딩(SR mm)이라고 하며, 이것을 잉크의 플로(flow)값으로 한다.
스프레드시트 (spread sheet)
컴퓨터에서 자료를 가로·세로의 표모양으로 입력하여 숫자나 문자 데이터를 처리하게 한 것. 각 셀(cell)은 서로 관계되어 셀의 한 데이터를 고치면 다른 관련 셀들의 내용이 자동으로 정리된다. ☞ 확장문서(→), 셈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