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온도 (color temperature)
광원의 색을 수치로 나타내기 위해 광원의 색을 온도로 나타낸 수치. 광원의 색온도는 색의 발색에 영향을 준다. 단위로 K(켈빈)을 사용하며, 인쇄업계에서 정한 표준 광원은 5,000K이다. ☞ 켈빈도(○)
색온도보정필터 (light balancing fliter)
광원의 색온도를 바꾸기 위한 필터. ☞ 색온도 변환필터(○)
색인 (index)
독자가 알고자 하는 사항을 본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본문에 나오는 주요 용어들을 뽑아 일정한 배열로 정리하고 면 표시를 한 것. ☞ 찾아보기(○)
색인쇄 (color printing)
먹 잉크가 아닌 색 잉크로 인쇄하는 것.
색입체 (color solid)
색상, 명도, 채도를 3차원으로 배열하여 색의 종류를 계통적으로 정리한 것. Lab, 오스트발트, 먼젤의 색입체가 있다.
색재료 (coloring material, colorant)
색을 낼 목적으로 쓰이는 착색용 재료. 염료와 안료가 있다. 인쇄 잉크에는 안료가 주로 쓰이고, 승화식 전사, 리본 잉크 등에는 염료가 쓰인다.
색재현 (color reproduction)
원고의 색(색상·명도·채도)이 인쇄물에 얼마만큼 표현되는가 하는 정도. 완전한 색재현은 어렵고, 색분해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색수정을 하고 먹판을 보완하여 4색 인쇄를 한다.
색조 (tone)
색상의 농담을 일컫는 말. 백색을 첨가(tint)하거나 흑색을 첨가(shade)하여 색조를 조정한다. ☞ 톤(→)
색조정 (color calibration)
색분해 작업에서 스캐너, 모니터, 프린터, 출력기 등의 출력 수준을 조절시키는 일. CCD 감도의 조절, 백색 밸런스의 조절 등이다. ☞ 컬러 캘리브레이션(→)
색증감 (color sensitization, optical sensitizaton)
사진 감광재료의 감색성을 색소를 혼합시켜 감색성을 변경시켜 주는 일. ☞ 광학증감(→)
색차계 (color differance meter)
색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같은 조건의 광원, 조명 아래서 수치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3자극치(X·Y·Z), Lab 등의 표시 방법이 있다.
색차이 (color differance)
물체의 색상 차이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것.
색채계 (chromometer, colorimeter)
물체 색을 수치 표시로 나타내는 측정기.
색판
색분해에 의하여 만들어진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rellow), 블랙(black)의 4색판. ☞ 사색판(四色版)(→)
색표 (color chip)
여러 종류의 색을 만들어 견본으로 만든 색 쪽지. 인쇄잉크 제조회사나 디자인 전문기관 등에서 견본색 책자를 제조, 공급하고 있다. ☞ 표준색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