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열
국제 규격원지의 하나. 743㎜×1,050㎜를 원지 치수로 한다. B0번(1,000㎜×1,414㎜)을 가상 치수로 하여 2절씩 재단해 가면 B1∼B10의 재단치수가 나온다.
비열본판
일본 공업규격 원지의 하나. 765㎜×1,085㎜의 치수를 가진다. 일본에서는 국제규격의 B열을 변형하여 일본공업규격으로 하고 있다.
비이클 (vehicle)
인쇄 잉크에서 안료를 분산시키는 매체로서 액체 상태의 성분. 잉크에 유동성을 주며, 오프셋 인쇄에서는 감지화(感脂化) 작용을 하고, 건조되면 잉크의 피막을 만든다. 각종 기름, 수지, 첨가제 등이 복합적으로 쓰인다.
비즈니스폼 (business form)
사무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서식, 장부, 전표 등을 가리키나 주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사무용 서식, 장부, 전표 등을 말한다.
비트 (bit, binary digit)
2진수의 한 자리를 나타내는 말. 한 자리는 0과 1의 두 가지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2진수 세 자리(○○○)는 23=8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즉 n비트(n 자리수)의 데이터로는 2n만큼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량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며, 프리프레스 작업에서 화상의 크기 등을 표시하는 데도 쓰인다.
비트맵 (bitmap)
컴퓨터 그래픽에서 화면상의 영상 데이터를 비트의 값(on/off)으로 만드는 방식. 미세한 점이 모여 만들어진 문자나 도형 또는 화상 신호를 비트 정보로서 평면으로 전개시켜 놓은 것. 디지털 화상 방식에서는 문자, 그래픽의 비트 맵을 만들어 이것을 출력기에 보내 종이, 인화지, 필름 등에 점으로 재현시킴.
비트맵폰트 (bitmap font)
가장 단순한 디지털 폰트(디지털 문자)는 출력된 대로 데이터를 그대로 갖고 있는 것으로 이것을 도트 폰트 또는 비트맵 폰트라고 함. 이것은 데이터 양도 많고 크기 변화를 하기에도 불편해서 보통은 윤곽선의 정보만을 갖고서 인자시 가운데를 메워 문자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쓰고 있다.
비피에스 (bps(bits per second))
데이터 통신에서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 ☞ 초당 비트 수(○)
비형[B형] 점도계 (brook field type viscometer)
점도를 측정하는 회전형 점도 측정기. 측정 방법이 간편해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그라비어 잉크 등 인쇄용 잉크의 점도 측정용으로 쓰인다.
빈등 (hollow back)
표지와 속장의 등을 붙지 않게 하여 책을 펼쳤을 때 공간이 생기도록 한 것. ☞ 뗀등(→)
빗면절삭기 (beveling machine)
금속 볼록판의 테두리를 비스듬히 절삭하는 기계 ☞ 모다듬기(→), 빗면 자르개(→)
빗잘림
재단기로 책의 속장을 자를 때 재단기의 불량으로 잘린 부분이 휘어진 것.
빛쬠 (printing, exposure)
인화지나 인쇄판재에 네거 또는 포지필름을 겹쳐 놓고 빛을 쬐어 화상을 형성시키는 일. ☞ 노광(→), 소부(×)
빨대 (sucker)
낱장 인쇄기의 자동급지 장치에서 쌓인 용지에서 한 장씩 떼내어 보내기 위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착반. ☞ 서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