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본문 (secondary text, extract, list)
본문 중 어느 한 문단에 딸리는 글. 행중(行中) 처리나 구획문으로 처리한다. ☞ 지문(枝文)(→)
분사잉크장치 (cascade inking system)
그라비어 인쇄기에서 인쇄판 실린더에 잉크를 분사식으로 뿌려 주는 장치.
분음부호 (dieresis, diaeresis)
판독부호의 하나(¨). 독일어의 철자, , , , 불어의 철자 , , 등. ☞ 다이에리시스(○), 다이이어리시스(×)
분절부호
두 단어가 합성어임을 보인다거나 접두사나 접미사, 어간·어미 등을 보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 대시류가 사용된다. ☞ 결합부호(○), 분철부호(○)
분할금칙
행머리와 행끝으로 끊어 꺾지 못하는 것들. 대시류, 리더, 줄임표, 연숫자 등.
불감지화 (desensitization, desensitizing)
오프셋 인쇄판에서 비화선부에 잉크가 묻는 것을 막고 보수성(保水性)을 높이기 위해 친수성으로 처리하는 것. 잔류된 감광막을 비화선부에서 완전히 제거시켜, 금속판 표면을 친수성으로 처리하고, 아라비아 고무를 발라 물기가 잘 흡수 되도록 하는 처리.
불균일 (unbalance)
같은 인쇄판에서 인쇄된 인쇄물의 농도가 고르지 않게 인쇄된 상태. ☞ 일정하지 못함(→), 바라쓰끼(×)
불쬐기 (burning)
빛쬠한 금속판(사진 볼록판, PS판 등)의 감광막을 보강하기 위하여 가열하는 공정. ☞ 열처리(→), 버닝(→)
붙여넣기 (tipping)
제책에서 낱장 등을 접장 끝에 풀을 사용하여 붙이는 일.
붙여짜기 (solid setting)
문자 조판에서 자간이나 행간을 띄우지 않는 것. 즉, 자송(字送)을 문자 크기 값으로 하거나 폭(width) 값으로 한 것. 구문에서는 행송(行送)을 0으로 한 것을 일컬음. ☞ 베다구미(×)
붙은등 / 찬등 (tight back)
양장 제책에서 책등을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 속장 등에 질긴 주름종이 등을 붙이고 이것을 표지 등쪽에 풀로 고정시키는 방식. 특히 양장 모등 형식에서 흔히 사용한다. ☞ 타이트 백(→)
붙이기 (paste)
컴퓨터의 워드 프로세싱이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가져다 붙이라는 명령. ☞ 붙여넣기(→)
붙임면지
제책에서 앞뒤 두 장의 면지 용지를 각각 반으로 접어 매는 쪽(맬몫) 부분에서 권두, 권말의 접장에 풀칠하여 붙이는 방법. ☞ 바름면지(→)
브라비어 (brevier)
구문 활자 8포인트 크기를 말하는 영·미식 별칭.
브러시 (brush)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붓으로 물감을 칠한 듯한 효과를 낼 때 사용하는 화면 상의 아이콘. ☞ 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