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활자 (body type, text type)
책자, 잡지, 신문 등의 조판작업에서 본문용으로 쓰이는 활자. 일반적으로 국한문의 경우 명조체를 많이 쓰고 활자 크기는 8∼12포인트 크기가 이용된다.
본인쇄 (production run, running on)
인쇄시 인쇄판을 인쇄기에 장착해 색맞춤, 가늠맞춤 등을 하고, 인쇄 교정이 완료되면 정식으로 인쇄에 들어가는 일. ☞ 혼스리(×)
볼드체 (Bold face)
구문 서체의 한 종류로서, 가로획에 비하여 세로획의 웨이트(weight)가 굵은 서체. ☞ 굵은체(○)
볼록판 (letterpress plate, relief printing)
인쇄판 형식 중의 일종으로 인쇄판의 볼록 튀어 나온 부문에 잉크가 묻어서 인쇄되는 판. 활판(活版), 선화(線 )볼록판 등. ☞ 철판(凸版)(×), 돗판(×)
봉투만들기 (bag making)
봉투, 종이 백, 비닐 주머니, 비닐 자루 등 주머니 모양의 포장재료를 만드는 것. ☞ 봉투 제조(→), 주머니 제조(→)
부록 (posterior matter, appendix)
본문과 관련된 사항이면서 본문으로 다루기가 부적당하거나 또는 참고자료가 될 것들을 책의 뒷부분에 붙인 것.
부석 (pumicestone slip)
속돌 가루를 막대 모양으로 굳힌 것. 오프셋 인쇄판의 더러움이나 불필요한 화상을 지우는 데 사용한다. ☞ 수정색(→), 속돌막대(→)
부속물 (annexed matter, oddments)
① 제책 과정에서 본문 이외에 들어가는 부속물들. 매상카드, 우편엽서, 띠종이 등. ② 책의 본문을 제외한 앞부분과 뒷부분 ☞ 오드먼트(×)
부제 (subhead, subtitle)
저작물의 제명(題名)이나 책의 항목의 부차적 이름. 본 제목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설명적 제목이다. ☞ 부제목(副題目)(○), 부표제(副標題)(×), 소제목(小題目)(→)
부팅 (booting, boot, bootstrap)
컴퓨터 시스템을 시동 또는 사용 도중 재시동시키는 것. 전원을 켜거나 시스템의 리셋버튼을 누르거나, 프로그램 명령으로 행해진다. 부팅에서는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불러온다. ☞ 시동(始動)(○), 띄우기(→), 부트(×)
부풀음 (blister, blow mark)
초지 과정 또는 인쇄를 할 때 급속히 가열 건조시키려 할 때 용지층 사이가 벌어져 용지가 볼록하게 되는 현상. ☞ 부풂(○)
부호화 ( encode)
어떤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수 등으로 바꾸는 것. ☞ 엔코드(→)
분 (unit, space)
어떤 조판 문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그것의 몇 분의 1의 폭을 일컫는 말.
분공목 (space)
활자 조판에서 전각 이하의 폭을 만드는 조판 재료. 자간(字間)을 띄울 때 사용한다.
분광반사율곡선 (spectral profile)
인쇄된 잉크 피막이 백색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비율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해서 기록한 곡선. 가시광선의 파장과 반사율(%)로 표시한 그래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