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쇄
책자의 인쇄물에서 본문과는 별도로 종이, 판식 등을 달리하여 인쇄된 인쇄물. ☞ 별도인쇄(→)
별쇄표제지
표제지를 본문의 종이나 판식을 달리하여 인쇄한 경우, 이 표제지를 일컫는 말.
별책 (supplement)
그 책의 부록 성질의 것을 별권의 책으로 만든 것.
별표 (asterisk)
구문에서 주석 등을 표시하거나 족보(genealogical tables)에서 출생 표시를 의미하는 기호(*).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곱셈 기호로도 사용한다. ☞ 애스터리스크(→)
별행 (starting a new line, new paragraph)
새 문단으로서 새 행에서 문장을 시작하는 것. "개행"이라고도 하나 개행은 판면 끝에서 다음 행으로 꺾임을 의미하는 말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별행들여넣기 (paragraph indent, indentation)
문단이 시작함을 보이기 위하여 문단 첫행 첫 자를 별행에서 일정 배수 들여넣고 조판하는 것. ☞ 들여짜기(○), 별행 인덴트(→)
별행항목 (separate line head)
항목이 독자적인 별행으로 잡히고 여기에 항목 행간을 들 수 있는 항목 설정.
병렬부호 (parallel)
컴퓨터에서 단어 또는 메시지의 모든 원소들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는 말. 가운뎃점이나 쉼표가 병렬부호로 사용된다. ☞ 병행부호(竝行符號)(→)
병풍접기 (accordion fold, zigzag fold,)
용지를 병풍 모양으로 접는 방식.
보급판 (soft cover book)
값싸고 쉽게 제책하는 방식으로, 인쇄된 낱장 표지를 풀칠하여 본문을 싸는 형식이 많음. 최근의 무선철 방식이 해당된다.
보내기
조판에서 문자열이나 행을 만들 때 문자 크기로 계산하여 자간, 행간을 만드는 사진식자나 전산조판에서의 개념. 자송(字送), 행송(行送) 등으로 일컫는다. ☞ 치송(齒送)(→)
보도니 (Bodoni, Caveliere Giambattista)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활판 인쇄술의 거장으로 날카롭고 명확한 활자 서체를 만든 사람(1740∼1813). 이 사람이 만든 서체를 보도니체라 함.
보디 (body, shank)
① 활자에서 자면(字面)을 받치는 4각 기둥. ② 문자의 크기를 일컫는 활자의 자면(字面). 보디 사이즈(body size)라 하면 문자 크기를 말하게 된다. ☞ 몸체(○)
보디페이스 (body face)
실제로 인쇄되는 문자의 크기보다 크게 차지하고 있는 자면(字面)의 전체 크기. 그 여백이 자간을 만든다.
보색 (complementary colors)
어느 색에 색을 혼합했을 때 백색광(가법혼색 : RGB)이나 검정색(감법혼색 : CMY)으로 되는 그 두 색의 관계. 흡수와 반사의 관계를 가진다. 예컨대 시안(C)과 빨강(R), 마젠타(M)와 녹색(G), 노랑(Y)과 청자색(B) 등. ☞ 여색(餘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