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foot)
활자 몸체 밑 부분에 홈에 의해 생겨난 두 발 같은 부분의 이름.
발라드법 (Ballard process)
그라비어 인쇄통(실린더) 제판 방식의 일종으로, 표면에 벗겨낼 수 있는 얇은 구리판으로 씌워 제판하는 방식. 인쇄 후에는 구리판만 벗겨 내고 다시 만든다.
발문 (afterword, postscript)
책의 뒷부분에 그 책에 관한 저자의 감회를 적은 글. ☞ 후기(後記)(○), 발(跋)(×), 후서(後書)(×)
발붙임 (tipping)
별쇄나 면지, 표지 등쪽에 띠 모양의 종이나 천을 이어 맬몫을 만드는 작업.
발음기호 (phonetic, phonogram)
언어의 음을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어 기록한 부호. ☞ 음성기호(音聲記號)(→), 음표문자(音標文字)(×), 음운문자(音韻文字)(×)
발행인 (publisher)
특정 저작물의 복제, 배포권을 가지는 출판권자. 복제권자(저작권자)로부터의 출판권 설정 계약에 의해 취득한다. ☞ 발행자(發行者)(○), 펴낸이(○)
발행일
저작물을 일반 공중의 수요를 위하여 복제, 배포한 날. 저작권 및 출판권의 존속기간에 관계한다. ☞ 발행년월일(發行年月日)(→)
밝기 (lightness)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도(明度, brightness value)라고도 함. 이것은 색의 3속성의 하나로 색상, 채도와 함께 색을 수치로 표시하는 데 쓰인다. ☞ 명도(明度)(○)
방식막 (acid regist)
사진제판 과정에서 부식액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피막
배 (em)
1행 14급 32배 등 조판에서 전각 문자 크기를 기준으로 몇 배의 길이나 간격 크기를 배수로 나타내는 말.
배[腹] (belly, front)
활자 조판의 활자 부위 명칭으로, 글자면을 바르게 했을 때 아랫면(등의 반대쪽)을 일컬음.
배수자 (line gauge, point gauge, pica measure)
포인트나 급수 등 조판 문자의 크기를 알아낼 수 있도록 투명필름에 배수나 포인트, 급수를 표시한 자. 활자에서는 금속의 자 형태로 만들었다. ☞ 배척(倍尺)(→), 배자(→), 포인트자(→)
배어남 (strike through)
인쇄시 종이 표면에 인쇄된 인쇄잉크의 바니스가 종이 뒷면까지 배어난 현상. 종이의 흡유성에 기인한다. ☞ 스트라익 즈루(→)
배지장치 (delivery)
인쇄기에서 인쇄가 끝난 용지를 추려 쌓거나 줄지어 배출시키는 장치. 낱장 인쇄기에서는 종이 쌓음대 위에 포개 쌓는 것이 보통이고, 윤전 인쇄기에서는 접기지로 접은 접장들을 컨베이어에 줄지어 배출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