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 (paragraph)
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같은 종류의 소집단 문장들. 한 개의 별행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여러 별행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별한 판면 구성의 시각화를 위하여 들여밀기나 내어밀기, 또는 문단 사이에 빈 행간을 둘 수 있다. ☞ 단락(○)
문선
활자 조판에서 문선과 식자를 분리 작업하는 경우 식자를 위하여 원고의 내용대로 활자 케이스에서 활자를 뽑아 문선상자에 담는 일. ☞ 채자(採字)(×)
문선상자
활자 조판에서 문선한 활자를 넣는 작은 목제 상자.
문자배열 (character arrangement)
문선(활자 조판)이나 인자(사진식자·컴퓨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문자 사용 빈도에 따라 문선 케이스에나 문자판 또는 코드 테이블에 문자를 배열한 것.
문자열 (string, character string)
① 조판에서 행을 만드는 문자 흐름 방향의 문자들. ②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 안의 문자들의 열. 이것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로서가 아닌 문자로 인식된다. ☞ 글줄(→)
문자입력장치 (character input device)
문자 조판시 문자를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코드화시키는 장치. 키보드, 입력 펜, OCR, 음성입력 등이 있다.
문자코드 (font code)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문자 인식 번호.
문자크기 (point size, type size, font size)
폰트(활자)의 크기, 국한문이나 영문에서 세로의 크기가 기준이 된다. 최대자면의 크기가 아닌 가상 몸체의 크기.
문자폭 (set size, set, width)
조판 문자의 가로 길이. 국한문은 기호 등을 제외하고 대체로 문자 크기와 같음. 전각(全角)의 몇 분, 몇 배 등으로 표시됨. 영문은 문자폭이 문자마다 일정치 않음. ☞ 자폭(字幅)(○), 나비(×),
문장부호 (punctuation mark)
문장의 의미를 돕거나 문장을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 ☞ 기술기호(記述記號)(○), 구두점(句讀點)(×)
물결대시
동어 반복 표시나 수식 기호, 수의 범위표시, 기점과 종점의 표시 부호로 사용되는 기호문자(∼). 전각물이다. ☞ 물결표(○), 파(波)대시(×)
물결스크린 (wave screen, waveline screen)
사진제판용 스크린의 일종으로 단선스크린을 물결 모양으로 만든 것.
물렁판 (copygraph)
아교와 글리세린을 원료로 해서 만든 묵과 같은 평판. 아닐린 염료로 쓴 종이를 묵판에 전사시켜 10여 장의 복사물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 ☞ 묵판(→)
물림몫 (gripper margin, front margine, gripper edge)
낱장 인쇄에서 인쇄기의 그리퍼가 용지를 물기 위해 필요한 용지 앞쪽(물림쪽)의 여백. 대체적으로 8∼10㎜의 여백이 필요하며, 이 부분은 인쇄 불가능한 부분이다. ☞ 물림여백(→), 구와에(×), 구와에시로(×)
물림밑쪽
인쇄용지에서 앞물림(앞맞추개가 닿는 쪽)쪽의 반대되는 쪽. ☞ 물림밑(→), 구와에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