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지 (end papers, end leaves)
책자의 속장과 표지가 이어 붙도록 하며 속장을 보호하고 표지 안쪽을 정리해 주는 역할을 하는 4페이지 분의 종이. 앞 표지와 뒤 표지에 각각 들어간다.
면표시 (pagenation)
책의 면(面)마다 일련의 면 숫자를 순서대로 매기는 일. ☞ 쪽번호 넣기(○), 면번호 넣기(○), 페이지 넣기(→), 번호매김(→)
멸활자 (battered type)
활자 조판에서 닳아 버려 못쓰게 된 활자. ☞ 멸자(滅字)(○)
명도 (brightness, lightness)
색의 성질 중에서 3속성으로 분류할 때의 하나. 색의 명암차(색상차와 무관)를 0번에서 10번까지 11종류로 분류한 농도 차이다.
명령어 (command, instruction)
컴퓨터에 작업 지시를 하기 위한 명령. 영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OS, 프로그래밍 언어. 어플리케션 소프트에 부속되어 있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 커맨드(→)
모눈종이 (section paper, squared paper)
도표 등을 그리거나 디자인 작업을 위하여 1㎜ 또는 2㎜ 등 평행선을 직각으로 교차하여 그린 인쇄물. ☞ 방안지(方眼紙)(○), 그래프 용지(→)
모던페이스 (modern face)
구문 서체 명조 계열 중의 하나로서, 가로획과 세로획의 굵기가 크고, 세리프가 직선인 서체.
모뎀 (modem(modulatory demodulator))
변조(變調)와 복변조(復變調)를 하는 기구. 컴퓨터와 통신 회선은 전기신호가 다르므로 컴퓨터와 전화 회선 사이에 두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 전산 통신기(→)
모등 (square back)
양장 제책 방식의 하나로 책등을 편편하게 만든 것. ☞ 각등(→)
모랫발 (grain)
오프셋 인쇄판을 연마해서 미세한 요철이 생성된 것. 인쇄를 할 때 수분의 흡수력,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한다. ☞ 스나메(×)
모랫발스크린 (sand screen)
망점으로 화상을 표현할 때 망점 모양을 모랫발 형태로 만드는 스크린. ☞ 사목 스크린(×), 스나메 스크린(×)
모서리가죽 (corner)
책 표지의 네 귀퉁이에 붙이는 세모꼴의 가죽.
모서리천
한장본(漢裝本)의 등 아래위 모서리에 대는 천.
모아짜기 (make-up)
이어짜기한 것을 체제에 맞추어 1페이지분으로 정리해 가는 것. ☞ 메이크 업(→), 대조(大組)(×)
모자이크 (mosaic)
인터넷 상의 www, 서버에 작용해서 쓰는 정보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말함. 기술된 문장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화풍의 한가지로 쓰이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