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닝숫자 (lining figures, ranging)
대체로 베이스 라인과 캐피털 라인에 맞춰져 키가 같은 숫자 서체.
라이트테이블 (light table)
테이블 윗면에 젖빛 유리를 끼우고 안에 형광등을 장치한 필름 작업대.
라인에디터 (line editor)
문자열은 수정할 수 없고 행 단위로만 편집할 수 있는 컴퓨터의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MS-DOS의 Edlin 따위. ☞ 줄 편집(→)
라인프린터 (line printer)
한 글자씩이 아닌 한 줄씩 한꺼번에 인쇄하는 출력장치. 한 글자씩 찍는 도트 프린터보다 인쇄속도가 빠르나 그래픽 인쇄는 되지 않는다. ☞ 줄 인쇄기(→)
래스터 (raster)
그래픽 화상을 화면에 생성할 때 화상을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인식하고 전자 빔을 수평으로 위에서 아래로 주사하여 각 점의 밝기와 색깔을 주는 것. 화상의 모양을 따라 주사하는 것을 랜덤 스캔이라 한다. ☞ 점(點) 방식(→)
래스터데이터 (raster data)
선(線)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로 합쳐서 화상을 만드는 데이터. 래스터의 밀도는 dpi 또는 dpm으로 표시한다. ☞ 점(點) 방식 자료(→)
랜드스케이프 (landscape)
컴퓨터의 출력물을 가로로 긴 방향에서 인쇄되게 하는 것. ☞ 가로방향(→)
램 (RAM(Random Access Mermory))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억되는 반도체 주기억장치로 저장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 내에 그 내용을 읽고 쓸 수 있는 것.
램상주프로그램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컴퓨터에서 어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주기억장치에 올라와 있다가 프로그램 수행이 끝난 뒤에도 그냥 램에 남아 있는 프로그램. 이후 운영체제를 거치지 않고도 실행되고, 또 불필요한 경우 램의 작업영역을 줄이게 된다. ☞ TSR(○)
랩 (Lab)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색채를 수치로써 객관적으로 표시한 것중의 하나. 컬러를 3개의 채널로 나누어 밝기(lightness), 녹색에서 빨강색까지와 파란색에서 노란색까지는 X·Y축의 좌표로써 나타내는 방식.
레올로지 (rheology)
물질의 변형과 유동에 관한 과학. 유동학(流動學). 인쇄 잉크에서는 안료 분산, 인쇄, 건조 등의 모든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들이 연구대상이 된다.
레이아웃 (layout)
정해진 공간 안에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를 선택 정리하고 배열시키는 것. 인쇄업계에서는 문자, 사진, 도안 등을 지면 또는 인쇄판 면에 구성, 배치하는 일을 말한다. ☞ (원고) 벼름(→)
레이저프린터 (laser printer,)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 프린터의 총칭으로 넓은 의미로는 레이저 사식 출력기, 이미지 세터 등이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소형 컴퓨터 주변기기인 프린터를 말한다. 레이저광으로 프린터 드럼에 대전시켜 토너를 붙게 하여 문자나 그림을 보통 종이에 가열 전사시켜 출력시킨다. ☞ 레이저 인쇄기(→), LBP(○)
레전드 (legend)
본문에 삽입되는 그림, 도표 등의 설명문이나 범례. 그림 제목(figure title)을 포함하기도 하나, 그림 제목은 캡션(caption)이라는 용어로 구별함.
레지던트폰트 (resident font)
프린터에 내장되어 있는 폰트. ☞ 상주 자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