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글자 (back title)
책등에 넣는 책의 제목이나 저자명, 출판사명 등의 문자. ☞ 등문자(一文字)(→), 세모지(×)
등두께 (back thikness, case clearance)
완성된 책의 두께. 두꺼운 표지에서 앞면 심지와 뒷면 심지와의 거리. ☞ 세하바(×)
등바대 (back lining)
양장 제책 공정의 등굳힘 작업에서 등쪽을 튼튼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천이나 종이.
등심종이 (quater)
빈 등으로 제책할 때 등에 붙이는 자루 모양의 종이.
등욱음
등굳힘이 잘못되어 책의 등이 안 쪽으로 굽어지는 것.
등톱질 (sewing in)
장합이 끝난 접장의 등을 톱으로 자국을 내어 실이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
등폭 (back clearence)
양장 제책 과정에서 표지용으로 만든 천에 심지(두꺼운 판지)를 붙인 것을 폈을 때 책등 부분의 앞심지와 뒤심지 사이의 간격. 책등 두께보다 약간 크다. ☞ 등두께(×)
등표 (signature, back signature, signature mark, nigger head)
제책 과정에서 장합의 정확도를 위해 각 접장 등쪽에 등표나 접장의 순서 등을 인쇄해 둔 기호. ☞ 등기호(→)
디도식포인트 (Didot point system)
1770년경 프랑스의 디도가 발표한 것으로 1/12인치를 6포인트로 한 것. 즉 1포인트는 1/72인치(=0.3759㎜)가 된다. 유럽에서 사용되는 포인트제이다.
디렉터리 (directory)
컴퓨터 보조 기억장치에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관련된 파일들을 묶어 하나의 목록으로 한 것. ☞ 자료망(→)
디버그 (debug)
프로그램의 잘못을 버그(bug)라 하는데, 이것을 바로 잡는 일을 가르킴. 벌레잡이의 뜻이 된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버그를 찾아 내는데, 이를 머신 디버그라 한다. ☞ 벌레잡기(→)
디센더 (descender)
영문 서체의 소문자 "x"자 아래 기준선보다 밑으로 늘어진 긴 획 또는 그 문자. g, j, p, q, y와 같은 글자.
디센더라인 (descender line)
영문 서체에서 아래로 긴 소문자(g, j, p, q, y 등)의 밑을 맞춰 그은 가상의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