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없는표지 (tight joint)
가죽 표지에서 바닥 판지와 등 사이에 홈을 내지 않은 표지. ☞ 민표지(→)
홍채조리개 (iris diaphragm)
카메라 렌즈 뒤에 설치하여 빛의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든 장치. 연속적으로 광량을 조절한다. ☞ 조리개(→), 시보리(×)
화면 (screen)
비디오 등 화상 출력장치에서 정보가 표시되는 평면. ☞ 스크린(→)
화면편집기 (screen editor)
커서를 화면 전체로 이동시켜 가며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화상자름 (bleed)
인쇄된 화상을 마무리 재단시 약간 자르는 제책과정. ☞ 화상물림재단(→), 화선자름(→), 화면절단(→), 다찌기리(→)
화선 (printing elements, printing area)
인쇄판에서 잉크가 묻는 부분. 볼록판에서는 잉크가 묻는 볼록한 부분, 평판에서는 감지화된 잉크가 묻는 부분, 오목판에서는 잉크가 채워지는 오목한 부분이 화선이 된다.
화소 (pixel, picture element)
화상의 최소 구성요소가 되는 화소(畵素)의 약자. TV 화상이나 팩시밀리 전송, 사진전송에서 화상을 분해시킨 최소의 점이다. 픽셀은 픽셀 하나하나마다 몇 비트씩의 색상 정보를 가지는데 이것이 색상 수가 된다. 또 이미지 하나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픽셀 수를 그 이미지의 해상도라 한다. ☞ 픽셀(→)
화소해상도
어느 이미지에서 화소가 가지고 있는 색상 정보. 비트 수로 표시되며, 비트 해상도가 8비트(28)이면 256색상을 표현하는 화소가 된다. ☞ 픽셀 해상도(→)
화장판인쇄 (decorative sheet printing)
나뭇결 무늬 등을 금속판이나 합판 등에 인쇄하는 것. 벽지, 장판 등 건축재나 가구, 가전제품 등의 겉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 전재인쇄(○)
화학기호
원자기호(原子記號)로서 화학식(化學式)을 나타내는 기호.
화학식
원자기호로서 물질의 구조를 나타내는 식. 실험식, 분자식, 구조식, 시성식(示性式), 배위식(配位式)
화학연마 (chemical graining)
금속평판의 모랫발 세우기 작업을 연마로 하지 않고 화학약품으로 부식시켜 하는 것.
화학펄프 (CP(Chemical Pulp))
목재 원료로부터 화학 약품을 이용해서 펄프(섬유소)를 만든 것. 비교적 순수한 섬유소로 구성되어 있다.
환언부호
본문에서 기술을 보충하거나 해석을 달리하거나 예시 사항을 보이거나 할 때 사용하는 기호. 대시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