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디엘 [P이]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문자나 도형, 화상을 페이지의 어느 위치에 배치할 것인가를 기술한 컴퓨터 언어. 포스트 스크립이 대표적이다. 다른 기종의 프린터로도 출력할 수 있고, 프린터 해상도에 관계 없으며, 아우트라인 폰트를 사용함으로써 글자의 확대, 축소, 변형이 가능한다.
피복력 (covering power)
다색 인쇄시 위에 찍힌 잉크가 아래 있는 잉크의 색을 덮어 버리는 상태.
피에스[PS]판 (presensitized plate)
미리 감광액이 칠해져 있는 인쇄판재. 원판은 네거티브용과 포지티브용이 따로 있고 온도와 습도에 영향 받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알루미늄 판 외에 종이 플라스틱을 판재로 할 수 있다.
피치 (pitch)
컴퓨터의 프림터에서 인쇄된 문자 간의 밀도. 10피치는 1인치에 10개의 문자가 인쇄된 것을 의미함. ☞ 문자 밀도(→)
피코 (pico)
10의 -12 제곱(1조분의 1)을 표시하는 접두어. 기호는 p.
피킹/뜯김 (picking, linting)
인쇄시 잉크의 점착력에 의해 용지의 표면이 뜯기는 것. 잉크의 점착력(tackness)의 지나침이나 용지 표면강도의 부족 등이 원인이다. ☞ 종이 뜯김(→)
피피아이 [PPI] (ppi(pixels per inch))
포토 숍에서 스캔된 화상이나 그림의 해상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 즉 1인치 안에 들어 있는 픽셀의 수.
피피엠 [PPM] (ppm(pages per minute))
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서, 1분에 출력할 수 있는 페이지 양.
픽트 (PICT)
미국 애플사가 정한 맥 컴퓨터 화상 파일 포맷. 맥 컴퓨터에서의 화상 소프트는 PICT 화상을 취급함으로써 이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TIFF나 EPS의 파일이 DTP 등의 용도에 제한되어 있는 것에 비해 PICT는 다른 사무용 컴퓨터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핀마크 (pin mark, dreg)
활자의 몸체 측면에 있는 동그라미 모양의 얇은 홈. 활자를 수동으로 주조 할 때 생긴 흔적이다.
필드 (field)
표의 열에 해당하는 말. 컴퓨터 데이터 베이스에서 처리될 자료의 최소 단위. 예컨대 주소록에서 ‘인명’이 있는 열, ‘전화번호’가 있는 열 등을 말함. 필드가 모여 한 개 정보인 레코드가 된다.
필사본 (manuscript)
인쇄술을 거치지 않고 손으로 써서 꾸민 책. ☞ 사본(寫本)(○)
하급판지 (chip board)
하급 원료로 만든 두꺼운 판지. 평량 400g/m² 이상 되는 밀도가 낮은 판지로 황판지, 뒷면 백판지 등이 있다. ☞ 판지(板紙)(○)
하드디스크 (hard disk)
컴퓨터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비교적 용량이 큰 보조기억장치. 고정 디스크 장치로 자성체를 칠한 원반을 밀페 용기에 넣어 자기 헤드로 기록시키거나 읽어내는 데 사용한다. ☞ 고정 디스크(→), 굳은 판(→)
하드롱지 (patron paper, hard-rolled paper)
가벼운 포장이나 봉투 따위에 쓰이는 갈색의 한쪽면 광택지.